적당한 삶 25

아웃룩 메일 그룹핑 방법 3 : 플래그 기능으로 중요 메일 모아보기

아웃룩 메일 웹에서 플래그 설정하기 이전에 아웃룩 메일 그룹핑 방법 두가지를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가장 쉽고 심플한 기능! 바로 아웃룩메일 플래그 기능. 이건 말 그대로 그냥 플래그를 지정해서 지정한 메일만 따로 모아볼 수 있는 기능인데, 보통 해야할 일이 있는 경우나 일정을 지정해야 하는 경우를 위한 기능이다. 그치만 개인적으로 플래그로 일정 관리(?)하는게 불편하다고 느껴서 나는 일정관리용으로 사용하지는 않고, 일정 없음으로 지정해서 북마크처럼 사용한다 ㅋㅋ 아웃룩 메일 웹의 상단 바. 요기에 깃발 모양의 아이콘이 바로 플래그 버튼이다 :) 메일을 선택 후, 요 플래그를 클릭하면 이렇게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나는 보통 날짜 없음으로 지정한다! 메일 목록에서 바로 플래그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

아웃룩 메일 그룹핑 방법 2 : 범주 설정 기능을 이용해 주제별로 메일 필터링하기

아웃룩 메일 웹에서 범주 설정하기 어제 아웃룩 메일에서 폴더 설정하는 법을 올렸다. 하지만 한 번에 하나의 프로젝트만 진행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프로젝트 안에 여러 주제의 메일이 오고 가는 데다가 내가 꼭 숙지해야 하는 내용이 있는가 하면 그냥 참고만 해도 되는 내용도 있다. 그래서 이 모든 내용을 폴더로 구분하기 힘들 때 메일에 범주를 설정하면 편리하게 필터링이 가능하다. 아웃룩 메일 웹의 상단 바. 여기 은근 유용한 메뉴들이 많은데, 내가 주로 사용하는 메뉴는 범주와 플래그 기능. 바로 요게 범주 설정이다. 말 그대로, 메일의 범주를 설정하는 기능 ^^; 범주를 클릭하면, 내가 설정해둔 범주 목록과 하단에 새 범주 추가, 범주 관리 기능이 있다. 메일을 선택한 상태에서 이 범주를 설정하면 되는 것...

아웃룩 메일 그룹핑 방법 1 : 메일 규칙 설정해서 폴더별로 관리하기

아웃룩 메일 웹에서 규칙 설정하기. 회사에서 메일을 사용하다 보면 전체메일 또는 참조로 포함된 자동메일 등 때문에 꼭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메일이 매일 몇십개씩 쌓인다. 이렇게 되면 내가 정말 봐야하는 메일들도 놓치게 마련. 이런 정크메일들을 따로 폴더로 분류하고 싶다면? + 주기적으로 발송되는 메일들 중 따로 모아서 봐야 하는 메일들이 있다. 이런 메일을 한 폴더에 모아서 보고싶다면? 아웃룩 규칙을 설정하면 된다 :) 참고로, 난 왜 앱을 두고 웹을 사용하는가 ㅋㅋㅋ 난 앱을 사용하다가 알 수 없는 오류가 생겨 웹으로 옮겼다. 근데 웹에 너무 적응하다 보니.. 다시 앱을 사용하기 너무 불편해져버려서.. 계속 웹을 사용중이다 ㅎㅎㅎ 그치만 앱에서 사용하는 기능들 중 웹에서 사용이 어려운 기능도 있어서 (..

슬랙 사용 팁 : 슬랙 명령어 (슬래시 / 를 이용한)

슬랙 명령어 정리. 슬랙을 더 똑똑하게 사용하는 법! 바로 명령어 사용하기 ㅎㅎ 슬랙은 다양한 명령어가 있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건 많지는 않다 ㅎㅎ 내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는 따로 포스팅도 올렸던 리마인더 설정과 투표, 그리고 /remove@사용자 : 채널에서 특정 멤버 제거 /rename [새이름] : 채널 이름 변경 /search : 메세지 또는 파일 검색 /dm@사용자 : 사용자에게 디엠 보내기 /invite @사용자 : 채널에 사용자 초대 이렇게 총 7개 정도. 명령어는 슬래시(/)입력 후, 원하는 액션만 입력하는 방식이라 사실 외운다기보다는 슬래시=명령어 라는 것만 알고 있으면 된다 ㅎㅎ *참고로, 리마인더 설정과 투표 만들기도 링크한다. 슬랙에서 리마인더 설정하기 : https://jx..

슬랙 사용 팁 : 메세지 서식 지정 태그 모아보기

슬랙 메세지 서식 지정하기. 슬랙에서 은근 유용하게 사용되는 기능. 바로 메세지 서식 지정! 주로 메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회사들은 모르겠지만, 슬랙으로 대부분의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한다면 슬랙 메세지도 건조한 텍스트로만 보내는 것 보다 각종 서식을 이용해서 중요한 부분을 강조한다던지, 하는 등의 서식을 지정해주면 서로의 의도를 빠르게 이해하는데 굉장히 큰 도움이 된다. 이런 사소한 기능으로도 가독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 슬랙에서 빠르게 서식을 지정할 수 있는 태그기능을 모아보았다. 슬랙 메세지 서식 지정은 아래와 같은 것들. 텍스트에 볼드처리, 이탤릭처리, 인용처리, 강조처리 등을 의미한다. 이런 서식들은, 특히나 회의록 정리 전 간단하게 주요 사항들을 공유하거나 질문할 때 주제와 부연설명을 구분하는 ..

맥 (MAC) 에서 IP주소 찾기

윈도우에서 내가 접속한 IP 찾는 법은 다들 알고있는데 맥(IOS)을 처음 쓰는 사람들은 맥에선 어떻게 찾지..? 헤매는 경우도 있다. (내가 바로 그랬다 ㅋㅋ) 이런 간단한것들이 헷갈릴 때가 있어서 정리해보았다. 1. 시스템 환경설정으로 들어간다. 첨 사용하는 사람들은 시스템 환경설정 찾는것도 오래 걸리던.... 찾는게 없으면 launchpad로 가면 다 있다! 2. 시스템 환경설정의 메뉴들 중 '네트워크' 를 찾아 들어간다. 아래 사진에 라이언으로 표시한 부분! 바로 이 화면에서 내가 접속한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모자이크처리되었지만, 우측의 '상태: 연결됨' 하단으로 내가 접속한 와이파이 이름과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에서 맥으로, 맥에서 윈도우로 운영체제를 바꿔서 사용하는 경우 간..

슬랙 사용 팁 : 슬랙에서 투표 만들기

슬랙으로 투표 만들기. polly를 이용해 슬랙 채널에 투표를 올려보자! 1. 입력창에 '/polly' 입력 후 엔터를 친다. 슬랙에서 '슬래시(/)'를 입력하면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는 것 참고! 2. 그럼 입력창에 요런게 뜬다. 투표를 만들기 위해 'Create a polly' 클릭! (다른 항목들도 제목만 보면 뭔지 알 수 있으니, 응용해서 사용하면 된다) 3. 투표 생성 레이어가 출력된다. 투표의 제목과 투표 타입, 항목을 입력한다. 투표 제목은 최소 3자 이상이어야 한다! 투표 타입은 아래와 같이 선택 가능. 투표 항목은 엔터로 구분하면 된다. (첨에 이게 헷갈렸음..!) 하단에 코멘트 여부, 중복투표, 항목추가 등의 옵션도 선택이 가능하다. 모두 입력 후 send를 누른다. 4. 투표 생성 ..

슬랙 사용 팁 : 리마인더 설정/해제하기

슬랙 리마인드 설정 기능 슬랙으로 리마인드 설정하기! 슬랙으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문구로 리마인드 설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매주 금요일 1시에 주간보고 제출을 알려야 한다던가 하는 반복적인 공지 업무를 슬랙 리마인더로 대체할 수 있다. 1. 메세지 입력창에 '/remind' 입력 후 엔터를 친다. 그럼 이런 레이어가 뜬다. 리마인더 설정 선택. 선택 후 입력창에는 위 이미지처럼 '/remind'가 입력될텐데, 다시 엔터를 누른다. 2. 리마인더 생성 레이어가 뜬다. 날짜와 시간, 알림 문구를 입력하고 저장하면 된다! 1회 리마인더 설정이 가능하고, 반복 알림 또한 가능해서 매일, 매주, 주중 등으로도 설정이 가능하다. 3. 리마인드 설정 완료! 그럼..이 리마인드를 삭제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1..

Axure 액슈어 따라하기 9. 클리핑 마스크 기능은 없나요?

처음 액슈어를 사용할 때, 일러스트레이터 등 디자인툴에서 정말 많이 사용했던 클리핑마스크 기능은 없을까? 했던 기억. 완벽하게는 아니지만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는 너무 간단해서 어이없을 수 있는 기능 ㅎㅎ Axure 액슈어 따라하기 9. 클리핑 마스크인 척! 하기 1. 마스크를 적용할 도형을 그린 후, STYLE의 'FILL'에서 'Image'를 클릭한다. 그럼 이미지를 불러오는 레이어가 표시되는데, 여기서 이미지를 불러오면 끝 ㅎ_ㅎ 사실상 클리핑마스크라기 보다는, 패턴으로 도형 채우기 기능이다. 2. 그럼 이렇게 도형에 이미지가 입혀진다. 이대로 쓸 순 없으니, Alignment에서 이미지의 위치를 조정한다. 클리핑마스크와 비슷하지만, 동일하게 쓰지 못하는 부분은, 이미지 사이즈 조절은 안된다는 점!..

PIN 코드와 Password(패스워드)의 차이

PIN 코드와 패스워드는 어떻게 다를까? 기획을 하면서 들었던 의문들. 둘 다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일종의 '비밀번호'라는 개념은 흡사한데 왜 어떤 서비스에선 PIN코드를 입력하고 어떤 서비스에선 패스워드를 입력할까? 핀코드는 일반적으로 4~6자리의 번호를 입력하게 되어 있고 비밀번호는 숫자와 문자 등을 조합하여 최대 90자 이상까지도 설정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패스워드에 비해 핀코드가 보안이 취약한 것이 아닐까? PIN 코드란 무엇일까? 서버를 통하지 않고 로컬에서 인증하는 방식. 즉, 서버에서 유효성 검사를 하는 Online 인증 방식인 패스워드와 다르게 Offline, 즉 Local에서 인증 후 (필요 시)결과만 서버로 보내는 방식이다. 패스워드란 무엇일까? 서버에서 유효성 검사를 하는 Onlin..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