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업무 2

기획자의 업무 비교 : 스타트업 vs 중소·중견 vs 대기업

실체가 없는 아이디어와 인사이트를 모으고 잘 정리하여 유무형의 서비스 혹은 프로덕트의 형태로 만들어 가는 모든 과정을 함께 하는 일 이전 포스팅에서 나름대로 정리해 본 서비스 기획자가 하는 일에 대한 정의. 그런데, 정말 회사에서 기획자에게 요구하는 업무와 역량과 일치하느냐? 라고 물어본다면 '회사에 따라 다르다' 라고 말할 수 있다. 7년여 간의 회사생활 중 진짜 '서비스 기획자'로서는 4년이지만, 초반 3년의 경력에 서비스 기획이 없었다고 할 수는 없는 (애매한)경력이기에 인턴과 프리랜서 경력까지 합하면 대기업-스타트업-에이전시-중소-스타트업-중견-대기업 ..나름 10인 이하 소기업 말고는 대부분의 회사를 잠시나마 경험해보았다. 이런 다양한 회사들을 거치며 느낀, 경험에 근거한 '회사 규모별 서비스기..

서비스 기획자가 하는 일.

4년차 서비스 기획자. 내가 처음 취업을 준비 할 때만 해도 굉장히 낯선 직업(?)이었지만, 약 7년이 지난 지금은 구글에 '서비스 기획자'를 검색하면 무수히 많은 멋진, 그리고 깊은 글들이 쏟아져 나온다. 글재주가 없는 편이라 이 직업에 대한 정의를 그렇게 멋지게 표현하자니 참 어렵고 실제로 내가 이런 글을 적을 만큼 깊이있는 지식이나 경험을 가지고 있느냐..라고 한다면 난 걸음마는 커녕 이제 겨우 뒤집기나 하는 수준이라고 생각하지만 (지금도 10분 째 대체 뭐라고 설명해야 할지 썼다 지웠다를 반복하고 있다..) 7년 전 내가 생각했던 서비스 기획자와 지금 내가 서비스기획자로서 하고 있는 일들이 다르듯이 좀 더 깊이를 가지게 되었을 때의 생각이 또 다를 것 같고 그래서 서비스 기획자가 무슨 일을 하는건..

728x90